'세금 > 세금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저과세한(기준이하이면 아예 세금안내고 계산도 안함), 소액부징수(계산한 세금이 얼마 미만이면 안냄) (1) | 2024.07.13 |
---|---|
세무사 기장(장부기록) 업무 (0) | 2024.07.12 |
증여세 (결혼축의금) (1) | 2024.02.22 |
경정청구: 5년이내 과다납부 세액 바로잡아 줄것 청구하는 것 (0) | 2023.07.12 |
유류세 (0) | 2023.06.01 |
최저과세한(기준이하이면 아예 세금안내고 계산도 안함), 소액부징수(계산한 세금이 얼마 미만이면 안냄) (1) | 2024.07.13 |
---|---|
세무사 기장(장부기록) 업무 (0) | 2024.07.12 |
증여세 (결혼축의금) (1) | 2024.02.22 |
경정청구: 5년이내 과다납부 세액 바로잡아 줄것 청구하는 것 (0) | 2023.07.12 |
유류세 (0) | 2023.06.01 |
소득공제 면에서는 차이가 없음 - 직불/현금IC/체크 다 기록에 남고 30%인가 공제됨
가맹점입장에서는
직불 : 은행에서 직접 가맹점으로
체크 : 은행에서 카드사 통해 가맹점으로
이렇게 중간절차가 달라서, 정산 기간도 다르고 수수료도 달라.
카드사 안 통했으니까 체크카드 실적으로도 안 잡힘.
직불기능만 있는거를 현금카드라고 하고 ATM만 사용가능
체크카드는 가맹점 결제 가능
둘다 가능한걸 현금IC카드라고 함
https://m.blog.naver.com/shiftspace/222079614968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이 지난 후 20일 이내에 사업자등록을 한 경우라면 절차와 조건에 맞게 세금계산서를 발급 받았다는 가정하에 예외적으로 매입세액 공제까지 받을 수 있답니다.
이런저런 상담내용인데 핵심은 잘 모르겠음
https://www.findsemusa.com/service/consult/consultView.do?qidx=11502
사업개시전 비용
카페 예비창업자입니다 사업개시일이 12월 13일인데 그전에 집기나 비품 신용카드로 먼저 결제했는데 비용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 간편장부에 기입할때 사업개시일자로 전표입력해야하
www.findsemusa.com
매입세액 불공제 - 간이/선택/당연 (0) | 2025.01.24 |
---|---|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세액공제 1.3% (0) | 2025.01.20 |
홈택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하려면: 전자세금계산서용 공인인증서(인터넷발급가능, 매년 수수료 4400원) or 세무소 보안카드(직접 방문만 가능) 발급해야함 (0) | 2024.08.07 |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율: 15~40%, 업종마다 다른데 음식점은 15%, 즉 매출1.5%-매입0.5% (0) | 2024.08.07 |
타인명의 카드 홈택스 등록은 안되고 비용인정받으려면 따로 기입해야함, 가족 혹은 종업원만 가능 (0) | 2024.08.07 |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세액공제 1.3% (0) | 2025.01.20 |
---|---|
사업자 등록전 매입금액 인정받으려면 - 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을 대표 주민등록번호로 받고 홈택스에서 전환처리 하면 됨 (0) | 2024.08.08 |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율: 15~40%, 업종마다 다른데 음식점은 15%, 즉 매출1.5%-매입0.5% (0) | 2024.08.07 |
타인명의 카드 홈택스 등록은 안되고 비용인정받으려면 따로 기입해야함, 가족 혹은 종업원만 가능 (0) | 2024.08.07 |
부가세(창출한 부가가치-이윤에 대해) vs 소득세(소득=수입-비용) 이윤과 소득의 차이는? (0) | 2024.07.16 |
< 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2021.7.1. 이후) >
소매업, 재생용 재료수집 및 판매업, 음식점업 | 15% |
제조업, 농업·임업 및 어업, 소화물 전문 운송업 | 20% |
숙박업 | 25% |
건설업, 운수 및 창고업(소화물 전문 운송업은 제외), 정보통신업 | 30% |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인물사진 및 행사용 영상 촬영업은 제외),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부동산임대업 | 40% |
그 밖의 서비스업 | 30% |
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2272&cntntsId=7693
특징
개인적립금 연간 9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능
연금수령기간 10년 이하 : 퇴직소득세 30% 감면
연금수령기간 10년 초과 : 퇴직소득세 40% 감면
예금자보호
이 퇴직연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으로 운용되는 적립금에 대하여 다른 보호상품과는 별도로 1인당 “5천만원까지”(운용되는 금융상품 판매회사별 보호상품 합산) 보호됩니다.
퇴직연금 내 투자성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가입대상
근로자, 개인사업자, 퇴직연금제도 가입자,
직역연금 가입자, 퇴직금수령(예정)자
※직역연금 가입자란?공무원/사립학교교직원/별정우체국직원/군인
가입금액 연간 최대 1,80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적립(퇴직금은 한도제한 없음)
ISA만기금액을 연금계좌로 전환 가능
비대면 운용·자산관리수수료 면제
상품운용방법
원리금보장상품(정기예금), 원리금비보장상품(펀드 등) 등으로 가입자가 자유롭게 운용
우리은행 정기예금 운용 불가(타사 정기예금 운용)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상품(주식형펀드, 주식혼합형펀드, 하이일드펀드 등)의 경우 최대 70%범위 내 운용가능
현금성자산(고유계정대) : 특정상품으로 운용지시없는 대기성자산(전일자 콜론금리 적용)
상품별 약관 : 우리은행 홈페이지 -> 금융상품[퇴직연금] -> 공시내용 [원리금보장상품이율공시]에서 제공
콜금리? 은행, 보험, 증권업자 같은 금융기관 상호간의 초단기 자금과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시장인 콜시장에서 결정되는 금리
지급방법 계약해지에 의한 일시금 또는 연금수령
연금신청방법 : 영업점, 인터넷뱅킹, 우리WON뱅킹
연금신청가능시기 : 55세 이후 & 최초 입금일로부터 5년 경과
(단, 퇴직금포함시 최초입금일로부터 5년 경과 조건 면제)
연금수령기간 : 5년 이상 ~ 40년 이내 또는 100세 만기
연금수령주기 :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연금수령한도(세법기준) : [적립금자산평가액/(11-연금수령연차)]*120%
개인적립금 연금 외 수령시(중도해지 포함) 원금과 운용수익은 기타소득세 16.5% 과세
해지시 지급소요일은 운용상품에 따라 다르며 자세한 내용은 퇴직연금 콜센터 또는 해당 영업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수수료면제
인터넷뱅킹 또는 스마트뱅킹 신규 고객(기존 비대면 가입 고객 포함) 수수료 면제
단, 최초입금일로부터 1년 경과 전 타 금융기관 이전 또는 중도해지 시 전체 기간 대면 수수료율* 적용
* 대면 수수료율(1억미만/1억이상) : 개인적립금(0.28%, 0.25%), 퇴직금(0.45%/0.38%)
퇴직금 최초입금일부터 30일 이내 해지하는 경우 퇴직금 수수료 면제 (단, 개인적립금 해당사항 없음)
수수료율 및 수수료 감면 내용
대면 수수료율(1억미만/1억이상) : 개인적립금(0.28%/0.25%), 퇴직금(0.45%/0.38%)
개인형IRP 내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저/중/고위험)로 운용되는 적립금에 한하여 기존 운용관리수수료를 기본수수료, 손익수수료로 구분하여 부과하며 기준지표와 연동하여 부과함
* 기본수수료 : 기존 수수료율 X 85%
* 손익수수료 : 기존 수수료율 X 15%
** 운용손익이 기준지표보다 높을 경우 : 기본수수료(85%) + 손익수수료(15%) = 기존 수수료의 100% 부과(현행동일)
** 운용손익이 기준지표와 같거나 낮을 경우 : 기본수수료(85%) - 손익수수료(15%) = 기존 수수료의 70% 부과(30% 할인)
*** 기준지표는 우리은행 디폴트옵션 저/중/고위험 포트폴리오 승인신청서에 기재된 목표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3번째 자리에서 올림)이며, 자세한 내용은 우리은행 인터넷뱅킹 수수료 부분에서 확인가능
계약이전으로 당행과 신규 계약하는 경우 또는 타 금융기관의 가입기간에 대해 장기계약할인 적용 가능
장기계약할인 : 2차년도 10%, 3차년도 12%, 4~6차년도 15%, 7~9차년도 18%, 10차년도 이후 20%
사회초년생할인(34세 이전 최초입금) : 운용관리수수료 20% 감면
연금수령할인 : 운용관리수수료 30%감면
누적수익'0'이하 가입자 대상 감면 : 누적수익'0'이하인 경우 실적배당형상품에 대한 평가액을 수수료 계산식에서 제외
[(누적수익 = 적립금자산평가액+인출액-부담금납입액)-차감예정수수료]
수수료징수
매 계약응당일을 계산기준일로하여 계약일 또는 직전 계산기준일로부터 해당 계산기준일(계약응당일) 전일까지의 적립금자산평가액 평균잔액에 대하여 해당 계산기준일 전일 현재의 적립금자산평가액에 해당하는 운용관리 및 자산관리 수수료율을 곱하여 계산하며 매 계약응당일에 적립금에서 취득합니다.
(계약응당일 : 최초입금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날)
연금저축 vs IRP (2) | 2025.04.09 |
---|---|
IRP 운용 (0) | 2024.07.30 |
개인연금: 세제 적격-연금저축(은행,증권사,보험사 모두에서 개설가능) / 세제 비적격 - 연금보험(아마 보험사에서만 가능한듯?) (0) | 2024.06.24 |
https://www.findsemusa.com/service/consult/consultView.do?qidx=13107
제 사업자명의에 배우자카드등록이 필요한데 어떻게하나요
같이 일을하고 있고 사업자는 제 이름으로 되어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 운영중이고 카드 할인이라는게 잇어서 마진을 높이려면 신랑카드도 등록해서 쓰고싶은데 세무소에 어떻게 증명해서 올
www.findsemusa.com
우선 홈택스에 등록가능한 카드는 대표자 본인명의 카드만 가능하며, 각종 카드혜택으로 가족의 카드를 사용하는경우 부가가치세 신고시
'기타신용카드' 목록에 기입하여 해당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홈텍스 상에 등록되는 사업용신용카드는 본인명의만 가능하십니다.
따라서, 배우자의 카드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신고시 부가가치세 신고용 엑셀자료를 받아서 업로드하여 경비 반영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