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계약전력 4kW부터~, 가정용은 보통 5kW
5kW는 주소이전, 계약변경 온라인으로 간단히 가능하지만, 그 이상은 별도 서류 작성하고 신분증이랑 제출해야함
요금은 일반용과 가정용이 체계가 다른 듯
일반용은 계약전력에 따라 기본료가 다르고 가정용은 사용량에 따라 요금 달라짐
400kW정도까지는 가정용이 유리, 그 이상이면 일반용이 유리하다고 함
계약전력이 5㎾인 경우: 5㎾ X 15(시간) X 30(일) = 2,250㎾h
계약전력이 10㎾인 경우: 10㎾ X 15(시간) X 30(일) = 4,500㎾h
우성애비뉴 여름 에어컨키면 140kW-2만, 겨울 100kW-1.5만, 봄가을은 70kW-1만 쯤나옴, 즉 100kW내외 사용함
계약전력 낮추려면 건물주 신분증과 서명 필요
총 전력뿐 아니라 순간 피크도 중요한데...

계약전력 1㎾당 월 450시간(450㎾h)을 처음 초과하는 경우 추가금 없이 계약전력 증설 안내문이 발송되지만 2회부터는 추과금과 함께 초과 횟수에 따라 요금도 증가
계약전력 45kW이상이면 전기세 못 낼꺼 대비해서 보증설정도 해야함
반응형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점 폐업신고: 인허가업종(식품관련영업), 시군구청/세무소 둘다 신고해야함 (0) | 2024.12.26 |
---|---|
음식점 영업전 준비사항: 위생교육,영업신고증,사업자 등록증 (창업감면 여부에 따라 상세내용이 달라지므로 창업감면 적용여부 먼저 확인필요) (2) | 2024.12.25 |
직불,현금IC결제(수수료1%) vs 체크카드(수수료1.5~3%) (1) | 2024.08.26 |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 (BC,삼성카드, 그외 포함하면 총9개 카드사) - 보통 신용2.3%, 체크1.55% (0) | 2024.08.26 |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등록-하나카드 매출액과 통합정산, 카드수수료 신용카드대비 0.25%낮음, 연매출10억이하만 가능(병원,약국,전통시장 등은 30억이하) (0) | 202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