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측면

  • 기준시가: 국세기준 
  • 시가표준액: 지방세 기준
  • 공시가격: 종부세(주택, 토지에 대해서만 냄) 기준

* 토지와 주택의 경우, 토지-개별공시지가, 주택-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공시되어 있으면 기준시가=시가표준액=공시가
* 공시가격은 국토부/시군구청에서 정하지만 고시되어 있으면 국세청에서도 이를 따른다는 개념인듯
* 상가 오피스 등은 공시가격 개념이 없으므로 기준시가 시가표준액이 다른듯

토지 토지 표준지 공시지가 국토부장관 매년2월 대표적인 50만필지
개별 공시지가 시군구청장 매년5월  
단독주택 토지+건물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국토부장관 매년1월 대표적인 20여만가구
개별 단독주택 공시가격
(아파트 다세대 연립주택)
시군구청장 매년4월  
공동주택 토지+건물 공동주택 공시가격 국토부장관 매년4,9월 다른애들처럼 표준이런거 없음
주택 외
(상가, 오피스텔 등)
건물만
(예외있음)
기준시가: 국세기준 국세청장    
시가표준액: 지방세기준 시군구청장 매년1/1 기준  

 
 
 
 

실거래가 실제 거래가격 양도소득세 취득세(최초구매) 기준
공시가격
(기준시가, 시가표준액)
과세용 국세 지방세 기준 (취득 당시 실거래가 확인못할때)
시가 시세 (KB국민은행 시세 or 한국감정원 시세)
두 기관에서 발표한 시세만 해당
주택담보대출 기준(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감정평가액 감정평가원의 검정평가 수용보상 은행대출 이주비대출 민사집행 자산평가 기준
반응형

+ Recent posts